

1. 시스템비계 조립 작업하는 경우 사업주 준수사항을 3가지 쓰시오 [비경가]
① 비계 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 조절형 밑받침 철물을 사용하여 시스템 비계가 항상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도록 할 것
② 경사진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(피벗형 받침철물) 또는 (쐐기) 등을 사용하여 바닥면이 수평을 유지
③ 가공 전로에 근접할 경우 이설을 하거나 (절연용 방호구) 설치
④ 비계 내에는 근로자가 이동하는 경우 반드시 지정된 통로를 이용
2. 강관틀 비계 조립 작업하는 경우 사업주 준수사항 (설치기준)을 3가지 쓰시오
① 비계 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 조절형 밑받침 철물을 사용하여 각각의 강관틀비계가 항상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도록 할 것
② 높이가 20미터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을 1.8m 이하로 할 것
③ 주틀 간의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
④ 수직방향으로 6미터, 수평방향으로 8미터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
3. 강관비계 조립 작업하는 경우 사업주 준수사항을 3가지 쓰시오 [비교가]
① 비계기둥에는 미끄러지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, 깔목 등을 사용하여 밑둥잡이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
② 교차 가새로 보강할 것
③ 가공 전로에 근접할 경우 이설을 하거나 (절연용 방호구) 설치
4. 기둥 보 벽체 슬래브 등의 거푸집 동바리 등을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하는 경우 준수 사항 [출중한 달인]
① 해당 작업을 하는 구역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 금지
② 비, 눈 그 밖의 기상 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 작업 중지
③ 재료, 기구,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릴 때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, 달포대 등을 사용하도록 할 것
5. 거푸집동바리등을 조립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( ) 알맞은 것을 쓰시오
① 시스템 동바리는 수직 및 수평하중에 의한 동바리 본체의 변위로부터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조립도에 따라 수직재 및 수평재에는 (가새재)를 견고하게 설치하도록 할 것
② 수직재와 (받침철물)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(3분의 1) 이상 되도록할 것
③ 파이프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
④ 파이프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할 때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 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
⑤ 높이가 3.5m를 초과할 때에는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
6.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프트의 조립 시 준수사항 1가지를 쓰시오
①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
②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
③ 높이가 3.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
7. 파이프서포트를 지주로 사용할 경우 준수해야 하는 사항
① 동바리의 이음은 (맞댄이음) 이나 (장부이음)으로 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
②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(볼트, 클램프)등 전용 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
③ 높이가 (3.5)m를 초과하는 파이프 서포트에 대해서는 높이 (2)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
8. 거푸집 동바리 붕괴사고 현장 장면이다. 거푸집 동바리 조립 시 준수사항
① 깔목의 사용, 콘크리트 타설, 말뚝박기 등 동바리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
② 개구부 상부에 동바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부 하중을 견딜수 있는 견고한 받침대를 설치
③ 동바리 이음은 맞댄이음 장부이음으로 하고 같은 품질 재료 사용
9. 거푸집 지보공의 구성 재료 중 각 명칭을 쓰시오

① 장선
② 멍에
③ 거푸집동바리
10. 화면은 거푸집의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거푸집 지보공의 구성재료중 각각의 명칭을 쓰시오

① 멍에
② 장선
③ 바닥재
11. 거푸집동바리등을 조립하는 경우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
① 깔목 사용
② 콘크리트 타설
③ 말뚝박기
12. 강관틀비계 구성요소 명칭을 쓰시오
① 기둥
② 작업발판
③ 교차가세
13. 동영상에 나온 작업자가 사용하는 비계의 명칭을 쓰시오
가 말비계
나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발판 폭은 40cm이상으로 할 것
지주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는 (75)도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 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 부재를 설치할 것
지주부재의 하단에는 (미끄럼방지장치)를 하고 근로자가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
14. 영상 속(이동식 비계) 재해의 원인 3가지
① 이동식 비계 바퀴에 브레이크 쐐기 등으로 고정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아웃트리거를 설치
②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하는 경우 안전난간 설치
③ 작업 발판 최대하중은 250kg 초과하지 말 것
15. 강관틀비계 설치기준 ( ) 채우시오
①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간의 간격이 (1.8)m 이하로 할 것
② 주틀간에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
③ 수직방향으로 6m 수평방향으로 (8)m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
16. 이동식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 시 준수해야 하는 사항이다. ( ) 쓰시오
① 이동식비계의 바퀴에는 뜻박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( ) ( ) 등으로 바퀴를 고정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( )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
②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( )을 설치할 것
③ 작업발판의 최대 적대하중은 ( )kg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
브레이크/쐐기/ 아웃트리커/ 안전난간/ 250
17. 비계 작업 시 높이 2m 이상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발판의 기준을 쓰시오
①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것으로 할 것
② 작업발판의 폭은 40cm이상으로 하고,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할 것
③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
18. 산업안전보건법령 상 사진과 같은 강관비계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( )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
①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(1.85)m 이하
② 장선 방향에서는 (1.5)m 이하로 할 것
③ 띠장 간격은 (2)m 이하로 설치하되
④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(400)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
19. 산업안전보건법령 상 이동식 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할 때 준수사항 2가지를 쓰시
① 이동식비계의 바퀴에는 뜻박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(브레이크) (쐐기) 등으로 바퀴를 고정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(아웃트리거)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
②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 할 것
③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(안전난간)을 설치할 것
④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
⑤ 작업발판의 최대 적재하중은 (250)kg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1. 관리감독자 유해위험 방지 [암기법]
1.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에 유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감독자의 업무내용을 3가지 쓰시오 [작재작] ① 작업방법과 근로자 배치를 결정하고 그 작업을 지휘하는 일 ② 재료의 결함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2. 작업 시작전 점검사항 [암기법]
1. 건설현장에서 크레인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 2가지 [권주와 운전장치] ①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②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 상태 ③ 와이어로프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3.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[암기법]
0. 사업주가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작업, 작업장의 지형 지반 및 지층 상태 등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기록 보존하여야 한다. 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작업계획서를 작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4. 사업주가 점검/준수/조치해야하는 사항 [암기법]
1. 항타기 또는 항발기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경우 사업주가 점검해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[본풀손 권브쐐 설치상태] ① 본체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② 권상용 와이어로프 드럼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5. 이상 발견시 즉시 보수사항 [암기법]
1.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에 사업주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할 사항 [부버부접 기둥] ①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및 탈락의 유무의 상태 ② 버팀대의 긴압의 정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6. 특별교육 교육내용 등 [암기법]
1. 산업안전보건 교육 중 근로자 정기안전 보건교육 내용 5가지를 쓰시오 ①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 ②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③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 ④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 ⑤ 직무 스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7. 특별교육 교육내용 등 [암기법]
1.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업무 4가지 [점참 감참 수참 검참 법신 위중] ① 사업장에서 하는 자체 점검 참여 및 근로감독관이 하는 사업장 감독 참여 ② 사업장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참여 및 사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8. 기타사항 1 [암기법]
1. 산업안전보건관리비 5~50억미만 기초액 50억 이상 갑 1.86 5,349,000 1.97 을 1.99 5,499,000 2.10 중건설공사 2.35 5,400,000 2.44 2. 하역운반기계(지게차 등) 운전자가 운전 위치를 이탈하고자 할 때 준수사항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9. 정의 및 설명 [암기법]
1. OJT 교육에 대해서 간단히 쓰시오 On the Job Training 의 준말로 직속 상사가 부하직원에게 일상업무를 통한 지식, 기능, 문제해결 능력 및 태도 등을 교육 훈련하는 방법으로 개별교육 및 추가지도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10. 종류(건설기계, 시험, 공법 등) [암기법]
1. 양중기 종류를 2가지 쓰시오 ① 크레인 ② 이동식 크레인 ③ 리프트 ④ 곤돌라 ⑤ 승강기 2. 양중기의 종류 중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는 기계 설비를 리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11. 하인리히 [암기법]
1. 하인리히가 제시한 재해예방의 4원칙을 쓰시오 ① 손실우연 원칙 : 손실의 형태와 크기는 우연적이다. ② 원인계기 원칙 : 재해발생은 반드시 원인이 있음 ③ 대책선정 원칙 : 재해예방의 가능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12. 히빙 보일링 [암기법]
1. 히빙 현상의 뜻을 간락히 설명하시오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흙막이 내외 흙 중량차이로 굴착바닥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2. 보일링 현상의 뜻을 간락히 설명하시오 투수성이 좋은 사질토에서
photo-tour.tistory.com
[건설안전기사] 유형별 정리 NO13. 전기 가스 관련 [암기법]
1. 가공전로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2가지를 쓰시오 ① 가공전로 이설 ② 가공전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2. 감전의 위험을 결
photo-tour.tistory.com
'건설안전기사 > 건설안전기사 (실기 작업형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건설안전기사 작업형] 유형별 정리 NO6. 철골 [암기법] (1) | 2024.03.21 |
---|---|
[건설안전기사 작업형] 유형별 정리 NO5. 타설 [암기법] (2) | 2024.03.20 |
[건설안전기사 작업형] 유형별 정리 NO3. 크레인 [암기법] (0) | 2024.03.15 |
[건설안전기사 작업형] 유형별 정리 NO2. 교량 [암기법] (1) | 2024.03.14 |
[건설안전기사 작업형] 유형별 정리 NO1. 터널 [암기법] (4) | 2024.03.13 |